견고한 '기자단 카르텔'? 세종시의 '노무현 정신'은?

정치·사회 > 2020-07-27 01:30:04

기자실 잡음 이어 광고비 차등 지급 방안 내놔..
'1인 매체도 가능하다' 헌재 판결.. 의미 잊었나?..
광고비 지급 방문자 수와는 무관해야..

【세종파라미 박은주 기자】

지난 22일 모 언론매체를 통해「기자실 똥물 투척사건 12년 흘렀는데 견고한 '기자단 카르텔'」이라는 제목의 기사가 올라와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2008년 부천시청 기자실 출입을 제지당한 한 기자가 억울함의 표시로 기자실에 인분을 뿌린 사건이 있었다.  

 

인분 투척 사건 이후 기자실이 브리핑룸으로 개방됐지만 차별은 그대로 라는 것이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00신문 측 기자와 한 인터넷매체 기자가 같은 이유로 몸싸움을 했다. 수년 전에도 또 다른 인터넷매체 기자가 기자실을 쓰지 못하게 제지하는 기자를 폭행 사건이 발생했다. 최근 기자실을 나가라고 제지하는 과정에서 말싸움은 흔히 일어났다"는 것이다. 

 

기자단 소속 기자들이 기자단 밖의 기자들에게 '앉지 마라', '왜 왔느냐'라고 눈치를 주거나 시비를 건다는 것이다. 

 

이들이 말하는 기자단은 보통 전국 및 광역 지자체 단위의 매체 기자들 모임이다. 부천시청에 등록된 출입 언론사는 109개, 취재 기자는 159명이다. 기자단 아닌 90여 매체의 기자들은 기자실을 자유롭게 쓰지 못한다. 

 

반면, 시흥시의 경우 기자실 사용권 문제가 계속 발생하자 브리핑룸을 전면 개방해 모든 취재진에 공평히 제공했다. 당시 기자들의 협박 전화를 하는 등 거세게 반발했지만 시흥시는 원칙을 고수했다고 밝혔다. 

 

지난 2011년 익산시청 기자실엔 '대못'이 박혔다. 지역의 군소 매체 기자들이 기자실 문에 못을 박고 출입을 막은 것이다. 2013년엔 충남도청 에서도 기자실 출입을 막는 기자와 출입하려는 기자 간 몸싸움이 벌어져 경찰이 출동했었다.  

 

'노무현의 정신'을 이어 받았다는 세종시는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

 


▲ 지난해 '소통의 새 지평 열었다.-250회 정례브리핑'을 진행하는 이춘희 세종시장과 기자들 

 

세종시에는 199개사가 출입을 신청하고 270명이 취재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4개의 기자단도 형성되어 있지만 기자실은 특정 1개 기자단만 사용하고 있다. 

 

기자실 개방으로 브리핑실을 넓혀 공동 사용할 수 있게 하자는 기자들의 목소리가 계속되고 있지만 세종시는 "출입기자들이 스스로 해결하도록 지원하겠다"는 답만 내놓고 있다. 

 

여기에 최근 기자단 소속의 한 매체는 세종시가 "ABC협회의 방문자 수, 포털 기사 전송 여부, 지역성, 브리핑 참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서 광고비를 차등 지급하는 방안을 협의를 통해 확정할 예정이다"고 보도했다. 

 

이에 "세종시 광고비 지급은 방문자 수와는 무관해야 한다"며 "1인 매체 시대가 열려 있는데... 방문자 수 적다고 광고비 지급 대폭 삭감이라니..." 등 볼멘 소리가 나온다.  

 

관공서에서 언론사에 지급하는 광고비 차등 기준을 둔다는 것이 옳지 않는다는 것이 1인 언론매체들의 지적이다. 

 

국민의 알권리 차원에서는 중앙지뿐만 아니라 소규모 인터넷 언론사들도 지역 홍보에는 똑같은 언론매체다. 

 

방문자가 많은 언론도 있겠지만 작게 운영하면서 지역 동네방네를 홍보하는 언론사는 소규모 인터넷매체다. 

 

특히 언론매체가 포털에 기사가 뜨니 마니 하는 말들이 나오는데, 이 역시 포털을 점프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방문자 수를 만들어 가는 식이다. 

 

이 논리를 역으로 지적하는 지역 언론들은 "로컬지는 로컬다워야 한다" 포털을 이용, 점프한 방문자 수를 고집하게 되면 순수한 로컬지는 없어져 소위 이웃에서 일어나는 소식들은 퇴색하고 말 것이라고 지적한다.

 

지난 2015년 헌법재판소는 박근혜 정부가 인터넷신문사의 등록기준을 '5인 이상 상시 고용'등으로 강화해 '언론 자유를 침해한다'는 반발을 샀던 신문법 시행령에 위헌 결정을 내렸다. 이에 소규모 매체들이 힘을 내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다. 

 

물론 세종시가 특별한 도시다 보니 인근 도시 언론매체가 세종시로 대거 몰려오면서 행정관청이 몸살을 앓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지금에 와서 포털가입·방문자 수 운운하는 것은 방법론에서 문제가 있다는 주장이 나온다. 

 

오래된 언론사들은 포털사이트에 가입돼 있지만, 지금은 포털사이트에 가입을 하려고 열심히 해도 가입이 거의 불가능한 상태이다. 

 

세종시 인터넷매체의 P 대표는 "현실이 이런데도 일부 언론매체의 '포털과 방문자수로 광고비를 지급하라' 는 것은 그들만이 세종시에서 언론을 독식 하겠다는 말로 들릴 것이다"라고 일갈했다. 

 

광고비 지급에 불만은 가진 언론사들이 세종시 집행부에 '각 사별 광고비 지급 정보공개'를 신청하여 받은 내역을 보면 인터넷신문이 받는 광고금액(보통 백만 원)의 많게는 대여섯 배가 넘는 금액을 받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지난해 '소통의 새 지평 열었다.-250회 정례브리핑' 후 이춘희 세종시장과 각 실국장, 출입기자들의 기념 촬영 모습 

 

세종시 인터넷매체의 K 기자는 "시의 예산 절감이 목적이라면 '세종시에 거주 하면서 세종에 사무실을 가지고 운영하는 언론매체 외에는 광고비를 지급하지 말아야 한다"며 "방문자 수보다는 세종시에 있는 관공서와 시민과 함께 협조하는 언론매체를 우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여기 저기 기웃 거리는 언론매체에는 세종시가 광고비를 지급하지 말아야 한다"고 일갈했다.

 

아울러 "포털·방문자 수로 광고비를 지급한다면 소규모 언론매체는 언론사를 하지 말라는 소리가 아닐까? 박근혜 정부와 다를 바 없는 언론 탄합으로 오해 받을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세종시 행정기관이 알아야 할 것은 "세종시에 언론사를 등록하고 세종시 증심으로 취재하고 활동하는 언론매체는 당연히 방문자 수가 적다"는 것이다. 

 

박은주 기자 / silver5195@hanmail.net

기사 댓글 0기사 댓글 펴기

작성자 비밀번호 스팸방지 문자입력 captcha img 등록